국가정보원 해외동향 취약점신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모두보기닫기
카드뉴스 점점 지능화 되어가고 있는 SNS상 정보 절취
작성일 : 2021.11.16
정보 절취 유형 및 예방법 

점점 지능화 되어가고 있는 SNS상 정보 절취 -정보 절취 유형 및 예방법-

A기업 기술 연구소. A기업 기술 연구원1: 혹시 무슨 일 있어? 표정이 너무 안 좋은데? A기업 기술 연구원2: 음.. 사실 새로운 업무가 나한테
잘 맞지 않는 것 같아서.. 이직 고민 중인데.. 국내 커뮤니티는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별로 없네. [추임새] 이렇게 정보가 없을 줄이야..
A기업 기술 연구원1: 음.. 혹시 job search 이 사이트 알아? 요새 전세계 직장인들이 모이는 구직사이트래. 가입 후 이력서를 올리면 헤드헌터가 연락을 준다더라고. a기업 기술 연구원2: 그런 좋은 사이트가 있었구나..! 안그래도 해외 이직도 생각 중이었거든! [추임새] 영어 준비해야 하려나?

A기업 기술 연구원1: 그렇구나! 너 정도의 실력과 경력이면 해외 이직도 당연히 가능하지! 너무 걱정하지 마. [추임새] 이직하는 건 너무 아쉽지만!
A기업 기술 연구원2: 정말 고마워! 이력서 열심히 작성해서 사이트에 올려봐야겠어!

[추임새] 이력서를 올린 뒤 3일 후... A기업 기술 연구원1: 어때? 연락은 좀 왔어? 많이 왔을 것 같은데! A기업 기술 연구원2: 응, 누가 나를 팔로우 하고 채팅도
요청했어. 근데 뭔가 수상한게... 날 검증하고 싶다면서 프로젝트 샘플 자료를 달래. [추임새] 회사 기밀자료인데..

A기업 기술 연구원1: 정말? 뭔가 수상한데.. 생각해보니 오늘 뉴스에서 구직 사이트에서 헤드헌터를 사칭해서 회원들의 기술을 탈취했다는
기사를 봤어. 설마 그런 수법인가? [추임새] 내가 잘못된 정보를 줬나봐.. A기업 기술 연구원2: 맞는 것 같아. 나 같은 구직자들의 마음을 잘 파고든 수법이네. 앞으로는 잘
살펴봐야겠어!

01. SNS상 정보 절취, 어떻게 시작되나요? 관계 형성: 공격자는 목표로 삼은 대상과 친밀한 관계가 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립니다.
지인 해킹: 목표로 삼은 대상의 팔로워 계정을 사전에 해킹하여 목표 대상자가 알고 있던 사람처럼 행동합니다.
유명인 사칭: 공격자는 목표로 삼은 대상에 쉽게 다가가기 위해 유명인을 사칭한 계정을 생성하여 접근합니다.

02. SNS상 정보 절취, 어떤 사례가 있나요? 관계자 사칭: 가상화폐 거래소 관계자를 사칭하여 SNS 계정을 생성한 후, 실제 거래소
직원들에게 접근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했습니다. 기자 해킹: 기자 계정을 해킹하여 언론매체 관계자들에게 업무 내용으로 위장한
이메일 및 악성코드를 유포했습니다.

03. SNS상 정보 절취, 어떤 특징이 있나요?
자극적인 제목: 주로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자극적인 제목과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관심분야 이용: 목표 대상자로 삼은 사람의
직업 및 관심 분야로 대화 주제를 좁혀갑니다.

04. SNS상 정보 절취,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요? 1.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지급 등과 관련하여 국가,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을 주의합니다. 2. 유명인이 갑자기 SNS상에서 연락을 취했을 때는 사칭이 아닌지 확인합니다. 3. 이유 없이 호의를
베풀며 다가오는 계정이 있을 때는 무언가 요구하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고, 요구할 시 응해주지 않습니다.

첨부파일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