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취약점신고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모두보기닫기
기타 보이스피싱 예방수칙
작성일 : 2024.01.09

 

국가정보원. 보이스피싱 예방수칙. 보이스피싱, '스마트폰 보안' 강화로 막을 수 있습니다. 민생을 파괴하는 보이스피싱 현황. 보이스피싱 피해액. 건당 평균 2.5천만원, 누적 4조원초과. 피해연령자 구성비(2022).사회초년생(20대) 비율이 에상외로 높음.스마트폰 해킹을 통한 보이스피싱. 범죄조직  1.악성액 설치 유도. 무작위 스미싱 ·큐싱.미끼 문자로 피해자의  전화 유도  시민  2.보이스피싱에 악용.통화가로채기.사진 · 미디어 파일 접근.연락처 · SMS · 녹음 등 악용  해커. 연계. 범죄조직. 01.악성앱 설치유도 유형1 무작위 스미싱 · 큐싱. 스미싱: 문자 · 카톡으로 택배, 청접장, 부고, 금융기관 등을 사칭하여 악성앱 설치 유도. 큐싱: 악성행위가 포함된 QR코드를 이용하여 악성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

01 악성앱 설치 유도 유형2 미끼 문자로 피해자의 전화 유도. (상담원_보이스피싱조직). '조회를 위해 확인코드가 필요합니다.', '확인코드는 보내드린 문자 링크 클릭...', '확인코드는 217.XXX.8.14(IP)로 접근하시면..', '안내대로 앱 설치 하셔야 처리가 가능합니다.'. (상담원_보이스피싱조직)'한도소진 임박...서둘러 신청하셔야...', '비대면 대출을 위해 앱 설치 도와드리겠습니다.'. 가짜 은행앱 설치 유도. 02보이스피싱에 악용 유형1. 통화가로채기. 피해자가 금융사 · 수사기관 대표 번호에 확인하는 전화도 가로채 피해자를 안심시킨 후 금전 갈취. 범죄조직이 직접 모바일 대출실행. 유형2 사진 · 미디어 파일 접근. 스마트폰에 저장된 은행 보안카드 · 신분증사진 · 금융정보 등을 절취하여 대출실행에 악용. 유형3 연락처 · SMS · 녹음 등 악용. 지인에게 피해자를 가장하여 피싱 문자 발송. AI로 목소리를 복제(보이스 클로닝)하여 가족 · 친지에게 금전 요구. 스마트폰 해킹시 이외 다양한 사기 · 협박 등 범죄로 연계 가능. 보이스피싱(스마트폰 해킹 연계) 예방수칙. 1. '보이스피싱 차단앱(시티즌코난 등)' 또는 '모바일 백신'설치 · 점검으로 악성 앱 사전 차단. 2.문자 · SNS등에 포함된 출처가 불분명한 URL 클릭 및 QR코드 촬영 금지. 3.공식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지 않은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설치하지 않기. 4. 팝업창으로 금융 · 수사기관을 자칭하며 금융거래정보 입력 요구 시 보이스 피싱 의심. 이외 예방 사항은 금융감독원 · 경찰청 홈페이지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보이스피싱 피해는 즉시 담당기관 신고. 피해신고 경찰청 112. 지급정지 금융감독원 1332.

 

첨부파일

없음